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이번에는 실전 트레이딩을 위해 거래소로 비트코인을 출금할때 지불하는 전송수수료를..

 

얼마나 지불해야 빠른 시간 내에 받아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 )

 

트랜잭션 , 컨펌의 간단한 개념

 

이 두 요소들은 포스팅 본문을 완벽히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하게만 정리하겠습니다.

 

 

 

 

극히 간단히 말하자면, 트랜잭션 (transaction) 은 전송 전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자가 요청한 출금 내역의 기록을 담고 있죠.

 

 

 

컨펌 (confirm) 은 이 전송 전표를 검증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뜻하며, 

 

 

채굴자들이 해당 검증 과정을 위해 자원(채굴기에 드는 전기...)을 소모하고, 그 댓가로 일정 전송 수수료를 받고,

 

이후 블록이 생성되는데요, 이러한 블록의 생성은 1회당 1컨펌이라고 정의 합니다. 

 

 

 

간단히 말해, 컨펌이란, 출금전표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 이라고 이해하면 편합니다.

 

 

컨펌 수가 많을수록 해당 거래 전표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하겠죠?

 

거래소가 입금처리를 받아주는 기준이 각각 다르지만, 요샌 죄다 1컨펌을 기준으로 입금을 받아줍니다.

 

 

 

그렇다면 채굴자들이 자신의 거래전표에 대한 블록을 채굴하게끔 전송 수수료를 최대한 많이 사용해야 전송에 유리하느냐?

 

이번 포스팅은 그에 대한 사실을 알아보는 포스팅이 되겠습니다.

 

 

전송 수수료별 예상 컨펌시간 (전송시간) 알아보기

 

제가 참고하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채굴 풀중 하나인 ViaBTC 의 홈페이지입니다.

https://explorer.viabtc.com/btc/stats/unconfirmed

 

BTC Pending Transaction | ViaWallet Blockchain Explorer

Block reward halving countdown,real-time blockchain info display for multiple cryptocurrency, including block height, the reward of the block, network hashrate, network difficulty, profit per TH/s

explorer.viawallet.com

 

 

 

제가 드린 링크로 접속하시면, 전송 수수료 대비 컨펌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표가 준비 되어 있는데요,
 
 
여기서 하늘색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은 10분 미만에 해당하는 컨펌 시간을 뜻하며,
 
초록색은 10~30분 , 노랑색은 30분~1시간 , 빨간색은 1~3시간 , 보라색은 3~12시간 , 회색은 12시간을 초과한 컨펌 시간을 뜻합니다.
 
좌측의 fee는 , transaction fee 를 뜻하며, 전송 수수료라는 뜻 입니다.
윗 사진의 표로 판단했을때, 
 
현재 0.001 비트 이상의 전송수수료를 낸 사람은 거의 없으며,
0.0002 비트 이상의 전송 수수료를 사용하면 10분 이내에 1컨펌이 났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상황은 어떨까요?
 
 

 

전송이 조금 밀렸던 모양입니다. 

 

0.0002 미만의 수수료를 낸 트랜잭션들의 컨펌 정체현상이 모두 해소되었지만,
대부분의 트랜잭션들의 컨펌시간이 최대 30분에서 1시간으로 잡히고 있네요.
 
 
재미난 점은, 높은 수수료를 냈다고 무조껀 10분 미만의 컨펌시간을 보장해 주진 않았다는 점 입니다.
컨펌시간이 낮아질 확률이 높아질 뿐이지, 무조껀은 아니라는 거죠.

 

 
0.0014 ~ 0.0016 비트의 수수료를 낸 트랜잭션들이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요..)
그 아래에는 10분 미만의 컨펌기록도 잡히고 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의 결론은, 
전송 수수료가 0.0002 비트 이상인 0.0004비트 이하인 경우 아주 일반적인 상황일때는..
 
보다 더 많은 수수료를 낸 경우와 비교하면 컨펌속도가 생각보다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과,
전송 수수료를 많이 지불하더러도 항상 최우선으로 블록이 채굴되지는 않는다는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많이 지불할수록 빨리 전송 될 가능성이 높은것은 사실입니다. 채굴시 보상이 다른 블럭에 비해 크기 때문이죠)
또한, 비트코인 전송에는 최소한 0.0002 비트의 수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도 깨달을 수 있었네요.
 
그렇다는건, 비트코인을 전송하기 전에 Via-pool 의 BTC Pending Transaction 서비스를 확인하여
전송에 제일 알맞는 전송 수수료와 더불어, 현재 네트워크 상황을 체크해 전송 수수료를 약간이나마 아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간혹가다 이럴때가 있죠.
비트코인 수수료를 잘못 입력하여 전송을 했는데, 0.0002비트 미만의 수수료를 사용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물론 운이 좋다면 10분 이내의 컨펌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운이 안좋다면 반나절이 걸려도 비트코인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이더리움의 경우 전송수수료로 사용되는 가스를 너무 적게 사용했을 경우 전송이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있죠..
이런 경우에는 거래소가 별도로 확인을 마친 이후 조치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언제 전송이 다시 진행될지 모르는 불안함이 있지만,
 
비트코인의 경우에는 개인 단위에서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ViaBTC의 비트코인 가속 서비스를 사용하면 됩니다.. 무료로도 사용할 수 있으니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꾸준히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와이코프 회로 (Wyckoff Schematics) 

 

주식시장의 권위자이자 월가 잡지의 저술가였던 Richard Demille Wyckoff 는 주식시장의 다양한 매매 테크닉을 개발했습니다.

 

윗 차트패턴 모델도 대표적인 그의 유산 중 하나입니다.

 

그는 주식시장 속 수요와 공급 간의 순환 관계를 이용해 윗 사진과 같이 2가지의 모델(회로)을 제시했습니다.

 


 

Wyckoff Price Cycle

 

 

 

Wyckoff가 제시한 수요와 공급에 의한 주가 순환 입니다.

 

 

 

과매도 (Over sold) 구간을 해당 모델에선 '축적 구간' 이라고 합니다. 

 

마켓메이커(세력)가 추후 몰려들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매집을 하는 구간이지요.  

 

 

 

 

 

이후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시점(이때 마켓메이커는 한정적으로 물량을 풉니다)에서 주가는 상승하고,

 

과매수(Over bought)구간이 오게 됩니다. 

 

 

이때가 바로 마켓메이커가 물량을 정리하는 대표적인 타이밍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분배 구간' 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공급이 지속적으로 쏟아지게 되어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는 시점이 오게 됩니다.

 

마켓메이커는 이미 물량을 넘겼기 때문에, 주가를 관리할 필요도 없지요. 

 

 

 

자연스레 주가의 하락이 찾아오게 됩니다.

 

 

 

 

 

저희가 이번에 주목해야 할 구간은 바로 축적 구간 (Accumulation Area)과 분배 구간 (Distribution Area) 입니다.

 


 

 

1 . Wyckoff Schematics - Accumulation Area 

 

 

 

와이코프는 축적구간에 대한 주가 회로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윗 사진의 PS , SC , AR 등의 축약어는 각 이벤트에 관한 축약어 입니다.

 

 

 

 

▶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ㅡ Phase A

 

 

1 . PS (Preliminary Support) - 예비 지원

 

 

곧 하락이 종료되리라 생각하는 시장참여자 혹은 마켓메이커의 구매 계약이 서서히 체결됩니다. 

 

볼륨이 서서히 붙기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볼륨이 서서히 붙기 시작한다는것은, 대형구매자(기관)들이 현 주가를 저점에 가깝게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 입니다.

 

그러나 대중들은 현 자리에 대한 공포심으로 가득 차있습니다.

 

 


2 . SC (Selling Climax) - 판매 절정

 

 

마켓메이커 (세력) 이 한차례 더 주가를 흔듭니다.. 대중들의 공포를 끌어내기 위해서이죠.

 

당연히 개인투자자 (개미) 들의 매도가 끝없이 쏟아집니다.

 

 

이때 역시 예전에 하락할때보다 볼륨이 크게 붙습니다. 

 

일부 시장참여자와 기관. 그리고 마켓메이커가 끝없이 쏟아지는 매도를 받아먹기 때문입니다. 

 

 

 

* 이때 갱신되는 최저점은 와이코프 회로 내의 지지 지점이 됩니다.

 


 

 

3 . AR (Automatic Rally) - 자동 랠리

 

 

윗 SC 과정에서 개미들의 매도를 되받아치는 매수 힘이 매도 힘을 압도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당연하다는 듯이 반등이 빠릿하게 등장하며, 비교적 주가가 쉽게 상승합니다.

 

 

이 상승동력의 대표적인 예 로는, 

 

공매도 청산 (공매도는 포지션을 닫을때 매수를 해야합니다) , 손절한 개미들의 뒤늦은 매수 , 세력 기관 단위의 매수 등이 있습니다.

 

 

* 이때 갱신되는 최고점은 와이코프 회로 내의 저항 지점이 됩니다.

 

 


 

4 . ST (Secondary Test) - 리테스트

 

 

SC 과정에서 드러난 바닥의 지지수준을 테스트 하기 위해 주가가 다시 내려가는 과정입니다.

 

이때의 수요와 공급 간의 비율을 따져, 현 시장이 해당 종목을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확인 하는 겁니다.

 

 

만약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 내에서, 주가의 바닥이 SC 과정에서 드러난 수준이라 충분히 인식된다면

 

ST 과정에서의 하락은 비교적 적은 볼륨이 동반되는 강도 낮은 하락이 될 것입니다.

 

 

물론 이 리테스트 과정은 사진과는 다르게 여러번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ST 과정에서 SC 의 저점을 뚫고 신저점을 갱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때 최저점을 갱신하게 된다면 와이코프 회로 내의 새로운 지지 지점이 됩니다.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ㅡ Phase B

 

 

0 . PHASE B 의 시작

 

 

페이즈 A 에서의 ST(리테스트)가 종료된 후, 바닥확인이 완료되었다고 인식됨과 동시에 다양한 시장참여자가 해당 종목을 매수합니다.

 

매수가 붙음에 따라 주가도 물론 상승하게 되겠지요.

 

 

그렇기에 페이즈 A 에서의 AR 과정에서 형성된 저항에서 상승이 그치거나, 저항을 뚫고 신고가를 갱신합니다.

 

* 이때 최고점을 갱신하게 된다면 와이코프 회로 내의 새로운 저항 지점이 됩니다.

 

 

 


 

1 . ST (Secondary Test) in Phase B - 지지 리테스트

 

 

 

기본적으로 페이즈 B는 기관과 세력들이 주로 물량을 매집하는 '축적 구간'의 메인 파츠입니다.

 

물량을 매집하는 구간인 만큼 상당히 긴 시간(보통 년 단위)을 박스권 내에서 횡보하게 됩니다.

 

 

 

그러나, 바닥 구간에 대한 리테스트가 끝난 뒤 이어지는 시장참여자들의 진입 덕에 

 

물량을 모으려는 세력들의 시선엔 영 불쾌한 상황이 벌어지려 하고 있죠.

 

 

 

 

따라서, 개인투자자 상대로 물량을 거두기 위해 주가를 다시 한번 흔들기 시작합니다. 

 

​이런식으로 변동폭을 꾸준히 제시하며 비교적 싼 가격에 물량을 매집하는것입니다.

 

 

 

특히 신저가를 갱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투자자에게 신저가 갱신이라는 것은 참 무서운 상황이지요..

 

 

* 이때 최저점을 갱신하게 된다면 와이코프 회로 내의 새로운 지지 지점이 됩니다.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ㅡ Phase C

 

 

0 . LPS (Last point of Support) vs Spring

 

 

페이즈 C는 LPS 혹은 Spring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과정은 세력 또는 기관 단위의 마켓메이커 (주가를 흔드는 주 집단) 가 

 

 

하락국면에서의 최종 바닥을 결정지은 이후 새 상승국면을 시작하는 준비단계에 해당됩니다.

 

 

이때 페이즈 C를 담당하는 주가 흐름은 크게 둘로 나뉘는데요, LPS 와 Spring 입니다.

 

보통 Spring 이 등장하지 않으면 해당 페이즈를 LPS 과정으로 인식합니다.

 


 

 

1 . Spring - 빙하기의 끝

 

 

Spring 의 뜻은 기본적으로 봄 또는 용수철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해당 과정 이후 새로운 상승 국면에 돌입하는것이니 겨울이 끝나고 봄이 찾아옴을 암시하는 과정이기도 하며,

 

해당 과정에서의 주가 변동이 용수철이 튀어오르는듯한 빠른 반응을 보여주기 때문에 용수철이라고 해석해도 될 것 같네요.

 

 

앞에서도 설명했다시피, 페이즈 C는 상승국면으로의 준비 과정입니다.

 

물량을 모은만큼 모은 세력이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타이밍이라는 것 이지요.

 

 

그러나, 세력은 항상 개인투자자들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떠올리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Spring 과정은

 

해당 종목의 박스권 횡보 이후 최종 방향이 하방인것처럼 페이크를 주며 개인 투자자들에게 대량 매도를 유도하기 위해,

 

신저점을 갱신하는 하락을 불러일으킵니다.

 

 

페이즈 B 이후 나온 새로운 신저점인데다가, 박스권 횡보 이후의 신저점이기 때문에 패닉에 빠지기 쉽죠.

 

그러나 이것은 전형적인 베어트랩 (베어리시 한 상황을 연출하나 실상은 불리시 했다던가의) 입니다...

 

 

신저점을 갱신한 주가는 얼마 안잇어 용수철마냥 강하게 튀어오르며

 

하방으로 뚤려 저항역할을 하던 저항선을 모두 돌파한 뒤 지지선으로 다시 바꿔 버립니다. 이후 지지를 받고 상승합니다.

 

 

말하자면 상승을 위한 악의적 눌림 이라는 것 이지요. 

  


 

 

2 . LPS (Last point of Support) - 최후의 지지(저점)

 

 

Spring 과정이 나타나지 않고 LPS (최후의 저점을 검증하는 과정) 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페이즈 B 와 페이즈 C 가 분간이 잘 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검증은 전에 저항으로 작용했던 지점인 지지라인에 대한 테스트로 나타나지만,

 

굳이 그 지지선 근처로 주가가 향하진 않는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와이코프 회로' 를 이해하고 있는 개인 투자자라면 

 

Spring 과정이 동반되는 편이 상승국면으로의 전환 시점을 찾기 쉽겠지요..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ㅡ Phase D ~ E 

 

 

1 . LPS (Last point of Support) 

 

 

페이즈 C의 Spring 과정 혹은 LPS 과정 이후 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상승 국면의 시작인 셈이지요.

 

 

이곳에서도 저번 지지 지점에 대한 검증이 이어지나, 꼭 주가가 거기까지 내려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2 . SOS (Sign of Strength) - 힘의 신호

 

 

이후 전 페이즈에서 생성한 저항자리를 가볍게 돌파하며 신고점을 지속적으로 갱신합니다. 

 

보통 높은 볼륨을 동반하며, 보통 Spring 과정 이후 빠르게 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과매수에 해당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돌파한 저항 (돌파했기 때문에 지지로 변함)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주가가 잠시 내려앉을 수 있습니다.

 


 

 

3 . BU (Back up) & LPS - 이익실현 + 지지 테스트

 

 

기본적으로 이정도의 상승이 동반 되었다면 슬슬 이익실현을 하는 집단들도 생겨날 것 입니다.

 

 

따라서, 이익실현으로 인한 매도세 + 과매수 상태에 대한 과열 호전 을 위해

 

LPS 라는 지지 테스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최소 한번에서 여러번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수렴형태를 띄는 경우가 있습니다.

 

 


 

 

4 . PHASE E

 

 

긴 기간동안의 바닥 확인을 마친 종목은 시장 내에서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수요가 몰리기 시작합니다.

 

 

전부터 형성되어왔던 전고점을 강하게 뛰어 넘었으며, 저항을 지지로 바꾸어 지지받는 모습은 

 

모멘텀 투자자에겐 상당히 매력적으로 작용하죠..

 

 

수요가 공급을 압도하며 (이때 공급을 제한적으로 풀며 주가 상승을 유도합니다) 상승국면이 지속됩니다.

 

 


 

 

 

 

2 . Wyckoff Schematics - Distribution Area 

 

 

 

와이코프는 분배구간에 대한 주가 회로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윗 사진의 PSY , BC , AR 등의 축약어는 각 이벤트에 관한 축약어 입니다.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 Phase A

 

 

1 . PSY (Preliminary Supply) - 예비 매도

 

 

주가가 필요 이상으로의 상승이 나오며 거품이 끼기 시작합니다. 

 

기적과 함께 새로운 논리 영역에 진입하길 바라는 일부 시장참여자를 제외한 나머지 투자자들은 이 시점부터 매도를 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기관과 세력 단위의 투자자가 물량을 대량으로 쏟아내므로 이 구간에서의 볼륨이 아주 높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가격 하락이 그닥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주가를 조절하는것은 세력임과 동시에 그들이 쏟아내는 물량을 흥분상태인 개미들이 모두 받아주기 때문입니다.

 

 

 

 

2 . BC (Buying Climax) - 구매 절정

 

 

 

최종 고점이라고도 불리우는 지점입니다. 

 

흥분상태인 개미들도 슬슬 현 주가의 자리가 고점이라는것을 눈치채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또한 ' XX 종목 신고가 연이어 갱신! ' 과 같은 뉴스 보도로 인해 대중들에게 알려지는 단계이며, 

 

관련 서적이 등장하는 등의 대중들의 관심을 이끄는 형태로 BC 단계의 시작을 알립니다.

 

 

(암호화폐 시장으로 예를 들면 비트코인 투자로 돈 좀 벌었다는 별 시덥잖은 서적이 뿜어져나오던 때가 있었습니다)

 

 

우매한 대중들은 이 과정에서 기관과 세력들의 배를 불려줍니다..

 

따라서 '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 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이때의 최고점은 와이코프 회로 내의 새로운 저항 지점이 됩니다.

 

 


 

 

 

3 . AR (Automatic Reaction) - 과매수에 대한 자동 반응

 

 

 

개미들도 BC 과정에서의 과매수 상태를 두려워하며 매도를 쏟아내게 됩니다.

 

이때의 시장상황은 공급이 수요를 가뿐히 넘어 선 상태로, 큰 볼륨과 함께 꽤나 큰 하락을 동반합니다.

 

 

그러나, 해당 하락을 조정으로 보고 진입하는 개미들에 의해 주가는 다시 고점 근처까지 회복됩니다.

 

 

* 이때의 저점은 와이코프 회로 내의 새로운 지지 지점이 됩니다.

 

 

 

 

 

▶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 Phase B

 

 

1 . ST (Secondary Test) - 지지테스트

 

 

페이즈 A의 AR 과정이 사실 단순 조정이었다면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했겠지요.

 

그러나 그러지 못한 경우 AR 과정에서 형성된 지지라인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당연히 이 과정속에서도 세력과 기관은 물량을 차근차근 정리합니다.

 

 

 

 

2 . SOW (Sign of Wickness) - 약화 신호

 

 

윗 ST 과정에서의 지지테스트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경고 신호입니다.

 

Wyckoff Distribution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신호로써, 공급이 수요를 가뿐히 넘어선 상태일때 나타납니다.

 

 

AR 과정에서 형성된 어설픈 지지 라인이 붕괴되지만, 

 

개인투자자의 섣부른 매도에 대한 대응으로 세력 단위는 물량을 채우고 주가를 다시 상승시킵니다.

 

 

 

3 . UT (Up Thrust) - 부력

 

 

세력이 굳이 저 고점에서 물량을 받을 필요가 있었을까요? 

 

당연히 윗지점에서 남은 물량의 매도를 차근차근 하기 위해 일정량의 방어를 해낸겁니다.

 

 

저 지지라인이 붕괴된다면 이탈을 하기도 전에 매도로 인한 주가 하락이 동반될테니까요.

 

 

이 UT 과정에서의 특징은 페이즈 A 에서의 BC과정에서 형성한 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을 동반한다는 점 입니다.

 

 

눈멀은 투자자들은 이때 매수를 받게 되지만, 

 

모멘텀 관점 트레이더들의 공매도와 이익실현을 견디지 못하고 재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 주가가 떨어진 이후 페이즈 C를 대비하기 위해 수렴 형태를 띄며 차트를 움직입니다. 

 

 

 

 

참고로 해당 과정(UT)은 Accumulation Schematics ​내에 있는 'Spring'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입니다.

 

 

축적과정에서의 Spring 은 상승을 위한 주가 눌림이었다면, 분배과정에서의 UT는 하락을 위한 오름 이었다는 것 이지요.

 

 


 

 

 

 

▶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 Phase C

 

 

0 . LPSY (Last point of Supply) vs UTAD Test

 

 

페이즈 C는 LPSY 혹은 UTAD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LPSY 는 LPS 와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UTAD 혹은 UT 는 Spring 과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페이즈 C는 세력과 기관이 물량을 정리하기 위해 나타내는 최종 과정으로써, 

 

주가가 하락하기 전 마지막 상승 혹은 횡보 형태를 띄게 됩니다.

 

 


 

 

1 LPSY (Last point of Supply) - 최후의 공급 지점, 최후의 고점

 

 

페이즈 B에서의 작은 수렴 끝에 주가가 상승하나, 신고가 근처까지 상승하진 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보통 주가가 오른 뒤 횡보를 하게 되는데, 이때 개미들이 앞에서 나온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매수를 하게 됩니다.

 

 

그에 맞춰 LPSY 구간은 당연히 세력과 기관이 매도를 하는 구간이 됩니다.

 

 

보통 횡보가 적당히 이어진 뒤 큰 하락이 동반됩니다.

 

 

 

2 . UTAD Test (Up thrust After Distribution Test) - 매도 이후의 UT 과정 테스트

 

 

페이즈 B에서의 작은 수렴 끝에 주가가 대폭 상승합니다.

 

 

이때, 신고가를 갱신하는 경우가 많으며

 

새로운 상승 사이클의 시작인지, 물량을 넘기기 위한 페이크 무빙인지 개미들의 입장에선 분간하기 힘듭니다.

 

 

이전 고점에서 형성된 저항을 강한 볼륨으로 돌파하여 지지를 받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이때 등장하는 각종 대중매체의 소식과 함께 새로운 개미들이 매수를 받기 시작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는 폭락하게 됩니다. 

 

아주 악랄한 패턴이죠.

 

 
대부분 이런 상황에서 권장되는 현명한 포지션은 추격매수가 아닌 공매도 포지션 입니다.
 
손실지정가를 짧고 간결하게 설정하기 아주 쉬운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 Phase D ~ E

 

 

 

1 . LPSY (Last point of Supply) - 최후의 공급 지점, 최후의 고점

 

 

페이즈 C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잠시 반등이 나오긴 하지만, 이 구간 역시 LPSY 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뒤늦게 과매도를 노리고 들어온 개미들에게 물량을 넘깁니다.

 

 


 

2 . SOW (Sign of Wickness) - 약화 신호

 

 

주가가 이렇게 내려앉았음에도 공급이 수요를 압도하는 모습입니다. 

 

 

이전에 생성했던 지지라인을 붕괴시키는 하락이 등장한 뒤, 다시 위로 지지받아보려는 움직임이 나오지만

 

이 구간 역시 LPSY 에 해당하는 지점으로써, 끝없는 매도가 등장하게 됩니다.

 

 

 

 

3 . Phase E

 

 

세력이 물량을 완전히 정리한 후 이탈합니다. 주가가 바닥을 향해 끝없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해당 종목이 진정한 가치를 지니는 종목인 이상, 

 

주가 순환은 지속적으로 반복됩니다. (저점을 높히며)

 

 

축적과정 이후 상승. 분배과정 이후 하락. 해당 과정을 겪으며 종목이 진정한 가치를 향해 나아가는겁니다.

 

 

 


 

 

Wyckoff Accumulation Schematics 의 대표적인 예

 

 

 

 

 

▶ 2014 - 2015  BTC / USD

 

 

 

 

물론 다양한 예시를 들만한 종목들이 많지만, 제 블로그는 암호화폐 중점 분석 블로그이기 때문에, 

 

대장주인 비트코인 달러 페어를 예로 들겠습니다.

 

 

저때도 와이코프 회로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며 새로운 상승 국면에 돌입했습니다.

 

 

 

2019년 01월 18일. 현재 하락장이 진행중이죠. 

 

제가 기다리고 있는 형태도 이러한 형태입니다. 큰 그림에서의 페이즈 B에서 매수를 받기 위해 몇달간 관망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달러 페어는 현재 페이즈 A를 순항중이라고 생각합니다.

 

 

 

Wyckoff Distribution Schematics 의 대표적인 예

 

 

 

 

▶ 2019 - 01 - 17  BTC / USD

 

 


​어젯자 분석에서 언급한 와이코프 분배 회로 + 비트코인 달러 페어 차트 입니다.

 

와이코프 회로는 큰 추세 내의 분석에서도 사용되나, 작은 그림에서도 적용하자면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해당 분석이 올라온 이후로도 별도의 주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주가가 상승하면 해당 모델은 부정됩니다.

 


 

 

해당 차트 패턴은 매매를 위한 패턴이라기 보단,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차트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비트코인 ㅡ 달러 페어의 분배, 축적 국면의 시작인 페이즈 A 까의 돌입 시간은 

 

페이즈 A 부터 E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거의 동일(혹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곧 의미있는 변동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중이지만, 다른 시나리오 대로 흘러간다면 몇주 정돈 더 늦어질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굳이 패턴 모델을 다양한 종목의 차트에 빗대어 매매에 직접 사용하려 하는 것 보단, 

 

 

와이코프 회로의 각 요소들을 이해하여 현 시장이 어느정도의 위치에 존재하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편이 

 

매매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개요

 

세상엔 다양한 트레이더분들이 있고, 그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보조지표도 다르겠죠. 

 

그에 따른 매매방법 또한 달라지며 여기서 매매 승률이 갈립니다.

 

 

 

그렇다 보니 다양한 분석들이 나오고 있는 와중.. 

 

어느 분석이 자신에게 도움이 될지, 해당 분석이 타당한지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선

 

일단 보조지표를 간단한 차원 내에서 최대한 많이 알고 계시는 편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론 다른사람의 분석글을 보는 편이 더 편하니까요.. -.- @..

 

 

 

특히나 비트코인 ㅡ 달러 페어는 잘 먹히는 지표가 매번 달라지기 때문에, 

 

한가지 지표만을 깊게 파는 사람들은 매매승률이 굉장히 들쑥날쑥해지실겁니다..

 

 

 

아무튼, 윗 사진처럼 쭈글쭈글한 구름과도 같은 형상을 한 밴드와 함께 다양한 선이 차트 위에 불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신적이 있으실텐데요,

 

 

 

 

저게 오늘 소개해드릴 하나의 지표 입니다. (굵은 분홍색 선 제외, 저건 EMA 120 입니다..)

 

다양한 지표들의 기술적분석 원리가 집결된 지표. 일목 균형표 입니다.

 

물론 지표만을 소개하는 자리인 만큼, 기본이론 정도만 설명드립니다.

 

파동론, 시간론 , 가격론 등의 이론은 일목산인(一目山人)이 낸 원서를 찾아보시는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이론파가 아닌 실전파이므로.. 실전에서 쓰는 내용만 다룹니다..

 


일목 균형표, 일목구름 (Ichimoku Kinko Hyo , Ichimoku cloud)의 어원

 

일목 균형표는 1935년, 일목산인(一目山人)이 미야코신문사에서 재직중 증권시황란 작성을 위해 개발 한 지표로써, 

 

신동전환선(新東轉煥線)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면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당 지표를 '신동전환선' 이라는 이름으로 부르진 않죠. 

 

일목 균형표 혹은 일목구름 이라고 부르는데요, 물론 지표 제작자의 이름을 따왔다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지표 이름의 일목(一目) 이 갖는 의미는 '한눈에 파악하다' 라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일목 균형표는, 시세의 중심 속에서 주가의 균형을 한눈에 파악하는 표 정도가 되겠네요.

 

 

 

또한, 일목 구름이라는 이름은 지표의 형태가 구름의 형태를 지닌다는 특성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실제로 해당 지표는 현 시세 기준 좌측과 우측. 그리고 중심에서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어 줍니다.

 

해당 지표에 대한 설명은 아랫 문단에서 계속됩니다.

 

일목 균형표, 일목구름 (Ichimoku Kinko Hyo , Ichimoku cloud)의 구성요소

 

 

 

※ 여기서부터 집중 하셔야 합니다. 이번 지표는 구성요소가 많고 복잡합니다.

 

 

​1 . 전환선

 

윗 사진자료 기준 파랑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9일간의 시세,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이은 선 입니다. 

 

따라서, 전환선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9일간의 최고가 + 9일간의 최저가) / 2 ​가 됩니다.

 

 

 

전환선이 갖는 의미는 단기간 내의 시세 중심. 

 

그리고, 매수하려는 힘과 매도하려는 힘 사이의 균형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단기적인 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시세 변동에 민감하게 움직입니다.

 

 

​2. 기준선

 

윗 사진자료 기준 단독 빨강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26일간의 시세,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쭉 이은 선 입니다. 

 

따라서, 전환선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26일간의 최고가 + 26일간의 최저가) / 2 ​가 됩니다.

 

 

 

기준선이 갖는 의미는 중기간 내의 시세 중심. 

 

그리고, 매수하려는 힘과 매도하려는 힘 사이의 균형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중기적인 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전환선보다 덜 민감하게 움직이며, 현 추세방향과 지지와 저항 자리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 후행스팬
 
윗 사진자료 기준 분홍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단순히 당일 기준 당일을 포함한 26일 전까지의 주가를 앞당겨 표시해 둔 선입니다.
 
말하자면 현재부터 과거의 기록을 26일치 앞당겨 표시해 둔 선이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4 . 선행스팬 #1
 
윗 사진자료 기준 연두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당일의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을 구한 뒤 서로의 수치를 이어, 26일 이후에 위치시킨 선 입니다.
 
따라서 선행스팬#1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 전환선 수치 + 기준선 수치 ) / 2 가 됩니다.
 
26일 이후에 위치시켰다는것은, 선행 자료 라는 뜻 이지요. 이는 선행스팬#2 와 함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5 . 선행스팬#2
 
윗 사진자료 기준 구름 상단의 빨강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52일간의 시세,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이어, 26일 이후에 위치시킨 선 입니다. 

 

 

따라서, 선행스팬#2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52일간의 최고가 + 52일간의 최저가) / 2 ​가 됩니다.

 
26일 이후에 위치시켰다는것은, 선행 자료 라는 뜻 이지요. 이는 선행스팬#1 와 함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6 .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 구름
 

 

윗 사진자료 기준 선행스팬#1 과 선행스팬#2 사이의 공간 전부가 구름에 해당합니다.
선행스팬#1 과 선행스팬#2 가 형성되고, 그 사이의 빈공간을 붉은색 혹은 녹색 구름이 채웁니다.
 
선행스팬#1 이 선행스팬 #2 보다 아래에 위치한 경우, 윗 사진과 같이 붉은 구름이 형성되며, 각 스팬이 저항역할을 합니다.
저항에 대한 신뢰도는 구름이 두꺼울수록 높아지며, 이는 대부분 하락추세때 나타납니다.
 
선행스팬#1 이 선행스팬 #2 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윗 사진 우측 끝부분과 같이 녹색 구름이 형성되며, 각 스팬이 지지역할을 합니다.
지지에 대한 신뢰도는 구름이 두꺼울수록 높아지며, 이는 대부분 상승추세때 나타납니다.
 

일목 균형표, 일목구름 (Ichimoku Kinko Hyo , Ichimoku cloud)를 통한 매매전략
 

 
1 . 전환선 
 
전환선은 기본적으로 단기이동평균선 (9일이므로) 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지지역할과 저항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주가가 전환선의 아래에 위치할땐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위에 위치할땐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기준선
기준선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기이동평균선 (26일이므로) 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지지역할과 저항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주가가 기준선의 아래에 위치할땐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위에 위치할땐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기준선 +
 
기준선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통해 현재의 추세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주로 상승추세일땐 기울기가 양수를 나타내며 (방향이 상방), 
 
기울기가 0 이거나 음수인 경우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주로 하락추세일땐 기울기가 음수를 나타내며 (방향이 하방), 
 
기울기가 0 이거나 양수인 경우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4. 전환선 + 기준선 
 
​전환선과 기준선은 공통적으로 이동평균선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과 교차하여 위에 위치하게 될땐 매수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균형표가 호전되었다' 혹은 '골든 크로스' 라고 부릅니다.
 
균형표의 호전은 기준선의 기울기가 양수일때 (방향이 상방일때) 신뢰도가 높으며, 
 
기준선의 기울기가 0이거나 음수일땐 현 상황에 대한 의심을 해보셔야 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과 교차하여 아래에 위치하게 될땐 매도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균형표가 역전되었다' 혹은 '데드 크로스' 라고 부릅니다.
 
균형표의 역전은 기준선의 기울기가 음수일때 (방향이 하방일때) 신뢰도가 높으며, 
 
기준선의 기울기가 0이거나 양수일땐 현 상황에 대한 의심을 해보셔야 합니다.
 
5 . 선행스팬#1 선행스팬#2 구름

 


​각 선행스팬 (구름대 하단과 구름대 상단) 은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선행스팬 #1 이 선행스팬 #2 위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스팬들 사이 영역이 녹색 영역으로 가득 차게 되며, 이를 양운이라고 합니다.

 

양운은 주로 주가의 지지 역할을 합니다.

 

 

 

양운이 두꺼울수록, 지지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합니다.

 

 

 

 

선행스팬 #1 이 선행스팬 #2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스팬들 사이 영역이 적색 영역으로 가득 차게 되며, 이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음운은 주로 주가의 저항 역할을 합니다.

 

 

 

음운이 두꺼울수록, 저항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합니다.

 

 

 

선행스팬 #1 과 선행스팬 #2 가 주가의 변동에 의해 움직이면 언젠간 서로 교차하는 시점이 생기겠지요.

 

교차하면서 스팬의 위아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당연히 구름의 색도 변하게 됩니다.

 

 

 

보통 선행스팬끼리 교차하는 시점을 변곡점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양운이 음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고

 

음운이 양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수 관점으로 접근합니다.

 

 

 

 

▶ BTC / USD 일봉

 

 

 

예를 들자면, 2019년 01월 17일 기준 

 

5-6일전 구름대 꼬임 현상과 함께 자그마한 양운이 등장했습니다.

 

 

 

대부분의 매수관점 트레이더들은 

 

 

구름의 형태를 보고 1월 동안은 두꺼운 음운 밑에서 주가가 꾸준히 저항받을것이라 생각하며 횡보할것이라 예고하였고,

 

저항받는 형태를 횡보로 이어가다 구름대가 얇아지며 양운으로 바뀌는 2월 근처가 주가가 치고 나갈 좋은 기회라고 생각중입니다.

 

 

이런식으로 구름대 꼬임 시점을 이용하여 몇몇 트레이더들은 매매를 합니다.

 

 

 

그러나, 현 상황은 양운이 큰 형태로 쭉 퍼져나가기보단 좁아질것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일목균형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지표 혹은 차트 패턴을 대입시켜 본다면 그닥 횡보를 이어갈 상황은 아니라는것을 알 수 있죠.

 

 

승률이 100%인 지표는 없답니다..

 

6 . 후행스팬

 

 

 

보통 후행스팬이 주가를 위로 돌파하는 경우를 매수신호 발생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고,

 

후행스팬이 주가를 아래로 돌파하는 경우를 매도신호 발생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목 균형표, 일목구름 (Ichimoku Kinko Hyo , Ichimoku cloud) 지표 활성화 방법

 

 

 

 

1 . 맨 위의 Indicators 탭을 클릭한 뒤, 

 

 

2 . 검색창에 'Ichimoku cloud' 를 검색합니다. (Ichi만 검색하셔도 나옵니다)

 

 

3 . 우측 맨위에 등장하는 기본 제공 지표인 'Ichimoku cloud' 를 클릭하세요.

 

 

 

 


4 . 지표가 등록됩니다. 그닥 세팅을 만질 필요가 없는 지표인 만큼 그냥 쓰셔도 됩니다.

 

저와 같은 세팅을 사용하실분 혹은 자신만의 세팅을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만 

 

 

좌측상단의 지표 리스트에서 일목균형표에 해당하는 톱니바퀴를 클릭하세요.



 

 

5 . 여기서 각 선에 대한 색상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각 옵션이 의미하는 뜻

 

 

Conversion Line = 전환선 (기본 세팅시 파랑색)

 

Base Line = 기준선 (기본 세팅시 어두운 빨강색)

 

Lagging Span = 후행스팬 (기본 세팅시 연두색)

 

Lead 1 = 선행스팬 #1 (기본세팅시 초록색)

 

Lead 2 = 선행스팬 #2 (기본세팅시 빨강색)

 

 

color 0 = 양운 (기본세팅시 연두색)

 

color 1 = 음운 (기본세팅시 빨강색)

 

마무리 

 

 

기능만 놓고 봐선 지표의 끝판왕이라고 불릴만 한 괜찮은 지표입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리기도 하는 지표인 만큼, 개인 취향에 맞는지 부터 따져보시길 바랍니다 ^^.

 

 
꾸준히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 해드릴 지표는 '파라볼릭 SAR' 지표입니다.

 

 

강한 추세 내에서 추세반전을 예고하여 각종 포지션의 진입과 종료 시점을 찝어주는 편리한 지표이지만,

 

약한 추세 내의 종목이나, 횡보중인 종목에선 영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강한 추세가 발생중인 종목에서 사용하면 좋은 지표입니다.

 

 

생각보다 많이들 사용하시는 지표는 아닌지라 생소한 분들도 계실텐데요, 차근차근 설명 드리겠습니다.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의 어원

 

 

파라볼릭 (Parabolic) 이라는 말은 생각보다 많이 들어본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나 막상 구글에 검색하면 해당 지표에 대한 설명글이 대부분이죠. 

 

 

 

많이 들어본듯한 느낌은 느낌이었을 뿐.. 다른 말과 해깔렸나봅니다.

 

 

어감이 비슷한 단어중에서 그나마 와닿는 단어는 Parabola 라는 단어가 있네요! 뜻은 포물선입니다.

 

연관검색어에 뜨지 않아서 찾는데에 약간 고생했네요

 

 

 

Parabolic SAR 지표도 포물선으로 표현되는것으로 보아 Parabola 에서 변형된 단어가 맞는 것 같습니다.

 

 

​SAR 은 ' Stop and Reversal ' 의 약자라고 합니다. 

 

이를 대충 번역하면 정지. 그리고 반전. 이라는 뜻인데요, 지표로써의 역할이라면 역시 추세 반전을 예고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이 두가지 추측을 합치면, 포물선 형태의 시작적인 정보로 추세 반전을 예고하는 보조지표가 되겠네요!

 

 

실제로 해당 지표는 웰즈 와일더 (J. 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 되었으며, 

 

많은 보조지표들의 매매 시그널이 후행성에 근거한다는 점에 대해 개선을 하고 싶었던 그는 

 

 

 

SAR 이라는 지표를 개발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지표의 특성상 가속변수 (시간이 지날수록 값이 커지는 변수) 를 사용하기 때문에, 

 

SAR 지표가 나타내는 값을 각각 점으로 표시한 뒤, 선으로 연결하면 포물선이 연상된다는 탓에

 

 

 

포물선이라는 의미를 가진 'parabola' 라는 단어를 변형하여 SAR과 합쳐 합쳐 

 

'파라볼릭 SAR' 혹은 '파라볼릭 시스템' 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는 간혹 'PSAR 지표'로도 줄여부릅니다.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의 구성요소

 

1 . 시각적 요소

 

 

파라볼릭SAR 지표를 활성화 하면, 점의 형태로 포물선이 그려집니다. 

 

단순히 다수의 점 (윗 사진에선 십자가)이 포물선을 이루며 

 

 

매수 혹은 매도 신호를 준다는 점 말고는 보여지는게 없는 시각적으로 매우 간단한 지표입니다.

 

2 . 내부적 요소

 

'파라볼릭 SAR'은 해당 값을 산출하는 공식이 존재합니다.

 

해당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 저희가 해당 공식을 외워둘 필요는 없습니다.

 

지표가 자동으로 알아서 계산해주니까요. 

 

 

 

그러나, 해당 공식의 구성 요소와 상관관계 정도는 알아두는 편이 해당 지표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 SAR* 

 

전일(혹은 전 캔들)에 형성된 SAR 값입니다.

 

 

 

♧ AF 

 

가속변수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값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 파라볼릭 값이 더 빠르게 변화하게 됩니다. 

 

지표 기본세팅 기준 (0.02 , 0.2) 0.02에서 최대 0.2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EP

 

​최고가 or 최저가 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강한 추세 도중에 새로 형성되는 최고가와 새로 형성되는 최저가가 됩니다.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을 통한 매매전략

 

 

파라볼릭 SAR 지표를 이용한 대표적인 매매 방법은 이렇습니다.

 

1. 주가가 점으로 형성된 포물선 위에 위치하기 시작할때 공매도를 청산하거나, 매수를 받습니다. (파랑 원 참조)

 

이는 곧 하락추세가 멈추어 반전 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즉, 주가가 포물선 아래에 있을때, 포물선과 교차하여 주가가 포물선 위로 올라가려 할 때가 매수 포인트 입니다.

 

2 . 주가가 점으로 형성된 포물선 아래에 위치하기 시작할때 공매도를 진입하거나, 보유물량 매도를 합니다. (붉은 원 참조)

 

이는 곧 상승추세가 멈추어 반전 될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즉, 주가가 포물선 위에 있을때, 포물선과 교차하여 주가가 포물선 아래로 내려가려 할 때가 매도 포인트 입니다.

 

 

 

※ 두 경우 모두 다른 지표들과 시장상황 등을 반영하여 포물선과의 교차 시기를 예측하여 포지션을 미리 잡을 수 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매우 간단하죠?

 

 

여기서 더 보수적인 방법을 택하고 싶다면,

 

 

3 . 포물선(점)이 주가 아래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이후로, 점이 3개 형성되는 시점에 매수를 받습니다.

 

삼중점은 추세가 반전된 뒤 그 추세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4 . 포물선(점)이 주가 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다면 (= 주가가 포물선 아래로 내려가는 순간) 매도를 합니다. 

 

이렇게 매매하시면 됩니다.

 

 

2017 BTC / USD 일봉 + 파라볼릭 SAR 

 

 

 

2017년은 가면 갈수록 추세의 강세를 보이던 상승추세의 해 였습니다.

 

따라서, 추세가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파라볼릭 SAR 지표의 승률 (특히 매수)이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 2018 BTC / USD 일봉 + 파라볼릭 SAR 

 

 

 

2018년은 강렬한 하락으로 시작했지만, 전체적으로 추세의 강도가 갈수록 낮아지던 해 였습니다.

 

따라서, 추세의 강도가 약해지면 약해질수록 파라볼릭 SAR 지표의 승률이 애매해지는 모습입니다. 

 

 

 

특히, 파라볼릭 초기 시그널 (포물선의 시작점) 에서 포지션을 진입했을 경우 애매한 포지션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네요.

 

 

(물론 저때의 승률이 영 써먹지 못 할 정도 였던건 아닙니다. 매도 승률은 장기적으로 봤을땐 굉장히 높습니다.)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지표 사용시 주의점

 

 

 

 

1 . 기본적으로 윗 사진과 같은 상황에선 왠만한 지표들이 거의 의미를 잃습니다.  

 

 

 

 

물론 윗 사진의 모습은 작년의 모습이지만 요즘도 이러한 모습이 자주 등장하고 있죠. 

 

 

파라볼릭 SAR 지표를 이용한 자동매매봇을 설정하는게 아닌 이상

 

(포물선 하단을 주가가 돌파할시 자동으로 매도 하는 봇이라던가..)

 

 

사실상 저희가 지표만 보고 이런건 즉각 대응하기 힘듭니다. 이런 무빙에 금새 망가져버리고요..

 

 

 

2 . 파라볼릭 SAR 지표는 횡보장에서 사용하는 지표가 아니라 강추세장에서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물론 지표를 통한 매매가 아예 안맞는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진 않지만,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애매한 포지션을 잡게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차라리 저런 상황은 이렇게 보시는게 훨씬 도움되실겁니다.

 

박스권 횡보를 할때 유효한 전략 중 하나인 박스권 단타 입니다. 밑에서 매수, 위에서 매도.

 

 

 

3 . 지표 맹신은 금물입니다. 

 

다른 보조지표들과 시장상황, 추세선상의 현 위치 등을 꼼꼼히 따져보아야 높은 매매 승률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지표 활성화 방법

 

 

1 . 윗 탭의 'Indicators' 를 클릭합니다.

 

 

2 . 검색창에 Parabolic SAR 을 검색합니다.

 

'para' 까지만 치셔도 나옵니다. 이후 맨 위에 있는 Parabolic SAR 을 클릭해주세요.

 

 

 

 

3 . 클릭하시면 이렇게 지표가 적용이 됩니다.

 

기본세팅에서 더 건들 요소가 없는 지표이므로 용도에 맞게 쓰시면 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  추세가 멈춘 뒤 추세반전이 이어질것을 예고 하는 지표인 파라볼릭 SAR 지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강한 추세를 나타내는 종목에서 사용하신다면, 꽤 괜찮은 매매 성과를 거두실 수 있으실겁니다.. ^^   

 

그리고  제가 항상 언급하는 내용 입니다.

 

 

현재 승률이 100%에 육박하는 차트 보조지표는 없습니다. 또한, ​100%에 가까운 승률을 자랑하는 보조지표도 없고요.

 

보조지표에 너무 심취하셔선 안됩니다..

 

 

 

또한, 최근들어 고수익을 낼 수 있는 듣도보도 못한 지표들을 개발했다면서 구매를 권장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걸 판매한다고 한다면 즉각 거절하세요.. 대부분 사기입니다..

 

 

 

카톡방이니 뭐니 하며 사기가 기승을 부리는 위험한 시기입니다.

 

사기를 당하면 안되겠죠..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암호화폐 채널 카테고리 ▼ > 비트코인 차트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전송 수수료. 빠르게 입금받기 위해선 얼마나 내야 할까? BTC Pending Transaction. - 비트코인 강좌 28편  (0) 2022.01.03
와이코프 패턴 (wyckoff pattern), 시장의 순환관계 - 비트코인 강좌 27편  (6) 2022.01.03
일목균형표 ( = 일목구름) . 추세 파악을 돕는 복합형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6편  (0) 2022.01.03
OBV 지표 (On Balance Volume). 세력의 개미털기, 매집,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4편  (1) 2022.01.03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매매를 위한 초간단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3편  (0) 2022.01.03
단순이동평균선 (SMA) , 지수이동평균선 (EMA). 매매 타점과 추세를 암시하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2편  (0) 2022.01.03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란 ?

 

 

오늘 소개해 드릴 지표는 

 

주가를 주도하는 세력의 매집 또는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OBV 지표입니다.

 

 

 

비교적 보기 쉽고 매매 기준을 정하기 좋다는게 장점이며 

 

무엇보다도 개미들을 향한 세력의 견제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개미털기와 같은 상승전 눌림 여부를 분간하는데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게다가 이 지표는 개잡주 (듣도 보도 못한 잡스러운 종목) 의 펌핑을 예측하는데도 은근 도움이 됩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의 원리

 

 

 

 

OBV 지표는 기본적으로 봉 마감시점의 봉 상태(양봉인지 음봉인지 체크)와 볼륨을 체크해 

 

 

 

양봉으로 마감되었을 경우 볼륨 만큼의 수치를 기존 OBV 수치에 더하고  

 

음봉으로 마감되었을 경우 볼륨 만큼의 수치를 기존 OBV 수치에서 뺍니다.

 

 

 

OBV 지표는 이런식으로 계산된 수치를 선으로 이어 시각적으로 표시해줍니다.

 

 

참고로 OBV 수치는 양수여도 상관이 없고, 음수여도 상관이 없습니다.

 

저희가 보아야 할건 수치 그 자체보단 전체적인 추세와 주가 간의 관계 입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가 주는 기본적인 정보

 

 

 

 

OBV 수치가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OBV 수치가 높아지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봉이 양봉으로 마감되어야 하며,

 

높은 폭으로 증가하기 위해선 해당 봉의 볼륨이 높아야 겠지요.

 

 

 

기본적으로 양봉은 봉이 시작된 가격보다 높은 가격대에 봉이 마감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봉에선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했다' 라고 일반적으로 판단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볼륨은 해당 봉 내에서의 거래량 과도 같습니다. 

 

물량을 얼만큼 주고 받았느냐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기본 지표죠.

 

 

 

이 두가지 개념을 합쳐 생각해보면 OBV 수치가 점차 높아진다는 것은 

 

해당 종목의 총 매도 물량보다 총 매수 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OBV 수치가 점차 낮아진다는 것은 

 

해당 종목의 총 매수 물량보다 총 매도 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의 활용 1 ㅡ 기초편

 

 

OBV 수치가 점차 높아진다는 것은 

 

'해당 종목의 총 매도 물량보다 총 매수 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고 윗 문단에서 언급했었지요.

 

 

 

이는 즉, '세력이 주가를 올리며 아직 이탈하지 않았다' 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BV 지표가 상승 추세이며, 고점을 꾸준히 갱신한다는 것은 

 

매수자 입장에선 추가매수 신호 , 홀딩 신호가 됩니다.

 

OBV 수치가 점차 낮아진다는 것은 

 

'해당 종목의 총 매수 물량보다 총 매도 물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고 윗 문단에서 언급했었지요.

 

 

 

이는 즉, '세력이 이미 이탈했거나 이탈하고 있다' 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BV 지표가 하락 추세이며, 저점을 꾸준히 갱신한다는 것은 

 

매수자 입장에선 관망 신호 , 홀딩하는 사람 입장에선 매도 신호가 됩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의 활용 2 ㅡ 다이버젼스 (발산) 응용편

 

 

예전에 포스팅 해 드린 상승 다이버젼스, 하락 다이버젼스 에 관한 글을 읽어 보신 분들이라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RSI 지표 뿐만이 아니라, OBV 지표와 주가 사이의 다이버젼스 현상 또한 매매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https://kikkik234.tistory.com/11

 

상승 다이버젼스 , 하락 다이버젼스에 관한 글 입니다. 

 

이번 문단이 다이버젼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문단인 만큼 체크해주세요.

 

 

 

기본적으로 OBV 지표는 주가가 향하는 방향과 모양새를 그대로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을 갖는 대표적인 지표는 RSI 가 있겠네요.

 

 

 

그러나, 간혹가다 OBV 지표와 주가가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진행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저희는 다이버젼스(발산)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주가와 OBV 지표 간의 다이버젼스를 활용하여 매매에 써먹을 수 있는 경우는 총 두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1 . OBV 수치가 넓은 흐름으로 보면 높아지고 있지만 주가가 하락하거나 횡보하는 경우

 

 

 

윗 사진을 보시면 주가가 큰 틀에서 보면 큰 하락 이후 횡보를 이어가고 있지만

 

OBV 지표의 저점은 높아져있는 상황입니다.

 

 

 

 

OBV 가 높아졌다는 것은 매수한 물량이 매도를 한 물량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주가가 전체적으로 움직이지 않았다는 것은 물량을 매집하는 세력이 주가를 관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지요.

 

 

 

 

따라서 OBV가 상승했지만 주가의 상승폭이 미미하거나 횡보 또는 하락하는 경우를 상승 다이버젼스(불리시 다이버젼스) 라고 합니다.

 

 

+ 추가해설

 

 

캔들을 잘 보시면 꽤나 큰 하락이 나온 이후로 

 

아주 작은 펌핑이 한번 있었고 주가가 원래대로 돌아왔는데요, 

 

 

이때의 OBV 를 체크해봣을땐 지금까지의 주가 하락은 저 하락을 일으키는데에 사용된 물량을 다시 회수함과 동시에

 

개인투자자 (개미) 들을 덜어내는 과정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2 . OBV 수치가 넓은 흐름으로 보면 낮아지고 있지만 주가가 상승하거나 횡보하는 경우

 

 

 

윗 사진을 보시면 초기엔 주가가 엄청난 상승을 하며 OBV 의 고점을 지속적으로 갱신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OBV 가 고점을 높히지 못하고 내려앉기 시작합니다

 

 

 

 

이때, 주가는 파랑색 동그라미를 친 부분을 기준으로 쌍바닥을 형성하며 저점을 갱신하지 않으려는 지지 현상이 일어났지만 

 

OBV는 진작에 저점을 갱신하고 있었습니다.

 

 

 

 

OBV 가 낮아졌다는 것은 매도 물량이 매수 물량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주가가 그닥 움직이지 않았다는 것은 물량을 정리하는 세력이 주가를 관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지요.

 

 

 

따라서 OBV 가 하락했지만 주가의 하락폭이 미미하거나 횡보 또는 상승하는 경우를 하락 다이버젼스(베어리시 다이버젼스) 라고 합니다.

 

 

+ 추가해설

 

우측 상단에 해당하는 파랑 원을 주목해보시면 주가는 반등을 치고 있는데 

 

그 시점 OBV는 쭉 낮아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보통 이와 같은 신호가 개잡주에서 제일 위험한 신호입니다. 윗 사진도 개잡주 중 하나고요..

 


 

 


 

 

OBV (On Balance Volume) 지표의 활용 3 ㅡ 종합편

 

 

▶ 과거 WINGS / BTC 일봉

 

개미털기 #1

 

 

주가가 쭉 상승하다가 갑작스런 하락이 나옵니다.

 

그러나, OBV 를 체크해보면 저점이 살짝 높아져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력이 물량을 정리하면서 나온 음봉은 아니라는 것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습니다.

 

 

 

펌핑 #1

 

 

앞의 음봉은 진짜 개미털기였던 모양입니다. 주가가 연이어 상승한 뒤 긴 꼬리를 남기는 펌핑이 나옵니다.

 

보통 이러한 펌핑 이후로 주가가 흘러내리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이후 OBV 지표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개미털기 #2 이후 펌핑 #2

 

 

이번에도 펌핑이 나오기 전 4연속 음봉으로 겁을 줬네요.

 

하락폭에 비해 OBV 지표가 많이 떨어지긴 커녕 횡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후 어마어마한 펌핑이 등장한 후 OBV 가 저점을 만들며 내려갑니다. 

 

일단 이탈이 확인되었으니 매도를 할 준비를 해야겠지요.

 

 

그들의 물량은 아직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 

 

 

주가가 무섭게 하락하여 전 저점까지 도착하였습니다.

 

그런데 OBV 지표를 확인하니 저점이 상당히 높아져 있는 모습이네요.

 

 

물량 정리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 정도만 알 수 있습니다.

 

 

일시적 펌핑 (매집봉) #3 + 상승 다이버젼스

 

 

일시적으로 펌핑이 나왔지만 금방 사그라 들었습니다.

 

물론 해당 양봉이 애매하게 형성된지라 음봉으로 끝났다면 OBV 수치가 추락했을겁니다.

 

 

 

 

보통 이런 긴 윗꼬리를 가진 봉을 매집봉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매물대를 테스트해 보았을 수 도 있지요.

 

(이런 개잡주는 전자의 가능성이 큽니다...)

 

 

 

 

이후 또 상승이 등장하지만 다시 주가가 하락하는데요, 

 

이때 주가가 하락하는데도 OBV 수치가 증가(또는 횡보)하는 것을 발견해냅니다. 

 

 

 

 

바로 상승 다이버젼스 입니다. 

 

그들이 물량을 채울만큼 채우고 펌핑을 할 타이밍을 쟤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펌핑 #4

 

 

거래봇으로 주가를 몇주간 지루하게 쭉 횡보시키더니 (OBV 의 변화가 없다는것을 확인함)

 

타이밍을 잡고 또 다시 펌핑을 일으켰습니다.

 

 

 

이번엔 거래량을 의도적으로 부풀려 관심을 유도했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직전 펌핑에서의 거래량을 체크한 뒤 이번 펌핑에서의 거래량을 체크해 보면 자전거래로 볼륨을 늘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펌핑 이후 주가가 급락하나 OBV 자체의 저점은 높아져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볼륨을 의도적으로 부풀려 거래소 상위 거래 종목으로 관심을 끌어 개미들을 꼬시는 행위가 발견되었으므로 

 

OBV 수치에 대한 신뢰도가 그만큼 하락합니다.

 

 

따라서 이후의 움직임이 좋을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필독! OBV (On Balance Volume) 지표에 맞는 봉 사이즈

 

 


​기본적으로 OBV 는 세력이 쉽게 눈속임을 줄 수 있는 지표입니다. 

 

봉이 양봉으로 마감되느냐 음봉으로 마감되느냐에 따라서 OBV 수치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세력은 그들의 의도가 해당 지표로 인해 쉽게 파악 된다는 점을 그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OBV 지표는 봉을 쉽게 조작할 수 없는 1분봉과 일봉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일봉을 초과하는 사이즈는 흐름이 빠른 암호화폐 시장에서 사용하기엔 영 좋지 못한 사이즈이며, (주식 시장에선 일봉을 많이 쓰는 이유)

 

 

 

1분봉을 제외한 기타 봉들은 마감 시간에 맞춰 봉 타입을 조작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암호화폐 시장 내의 OBV 지표 신뢰도 비교는 1분봉 >>> 일봉 >>>>>>>>>> 기타 정도 입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 활성화 방법

 

 

 

 

1 . 트레이딩 뷰 기준입니다. 상단의 Indicators 를 클릭합니다.

 

 

2 . 검색창에 OBV 를 검색합니다.

 

 

3 . 검색을 하시면 맨 위에 등장하는 기본 제공 지표인 On Balance Volume 을 클릭합니다.

 

 

 

 

 

 

 

4 . 별도의 추가 설정이 필요하지 않은 지표입니다.  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개인적으로 권장하는 봉 사이즈는 일봉과 1분봉입니다.

 

OBV (On Balance Volume) 지표 사용시 주의할 점

 

 

 

1 . 개잡주에서 사용할 경우 주의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개잡주(듣도 보도 못한 잡스러운 종목)는 주가가 어디로 한순간에 튈지 모른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여긴 하한가라는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세력의 기분상태에 따라 종목의 가치가 한순간에 반토막이 날 수도 있습니다.

 

 

 

 

 

2 . OBV 지표는 절대적인 지표가 아닙니다.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현재의 추세 입니다. 

 

초강세장의 경우 OBV 가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더러도 (그럴일은 거의 없지만요..) 주가가 미치도록 치고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지표만을 맹신하여 매매에 사용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합니다..

 

 

 

 

 

3 . 세력이 매집을 한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언젠간 그들도 수익을 내야 하니 주가를 올리기야 하겠지만 

 

혹여나 해당 종목을 포기하고 이탈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

 

 

따라서, 맹신하시면 안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소개해 드린 OBV 지표를 이용한 매매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가를 흔드는 것은 세력이고,  

 

그들이 매집을 한다는 것은 주가의 상승을 예고하지만 , 그들이 이탈을 한다는 것은 주가의 하락을 예고하며

 

그들은 기본적으로 매집 도중 개미들이 달라 붙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 매매방식 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겐 생각보다 마음에 잘 와닿지 않는 매매 방법 일겁니다..

 

 

 

 

하지만 다양한 지표들을 알아두는것은 언젠간 도움이 됩니다.

 

다양하게 매매에 사용해보세요!

 

 

 

 

성투하세요 ^^.

 

꾸준히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암호화폐 채널 카테고리 ▼ > 비트코인 차트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코프 패턴 (wyckoff pattern), 시장의 순환관계 - 비트코인 강좌 27편  (6) 2022.01.03
일목균형표 ( = 일목구름) . 추세 파악을 돕는 복합형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6편  (0) 2022.01.03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추세반전을 암시하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5편  (0) 2022.01.03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매매를 위한 초간단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3편  (0) 2022.01.03
단순이동평균선 (SMA) , 지수이동평균선 (EMA). 매매 타점과 추세를 암시하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2편  (0) 2022.01.03
도지 캔들 마감이란 무엇인가? 매매의 핵심이 되는 열쇠 - 비트코인 강좌 21편  (0) 2022.01.03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반응형

주인장이 직접 집필한 비트코인 무료 강좌 총 28편 모음집!!

kikkik234.tistory.com/785

 

비트코인 차트 보는법, 무료 비트코인 강좌 28편 모음집 - KIK

최근들어 암호화폐 트레이딩 열풍이 다시 부는 듯 하여 과거 강좌글을 보기 쉽게 재편성 했습니다! 솔직히 제 매매법의 정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스타일이 바뀐건 딱히 없

kikkik234.tistory.com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분석글을 보다 보면

 

 

 

윗 사진처럼 불규칙한 구름? 모양의 밴드가 봉 근처에 줄줄히 형성되어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으실겁니다.

 

저 밴드는 무슨역할을 하며, 트레이딩을 위한 차트의 기술적 분석을 어떤 방식으로 돕는것인지 ,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의 어원

 

​단순히 '볼린저' 라는 사람이 해당 지표를 개발했기 때문에 볼린저입니다. (정확히는 존 볼린저)

 

뒷어절의 '밴드'는 해당 지표가 지닌 모습을 본떠 이름을 지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볼린저 + 밴드 = 볼린저 밴드 입니다.

 

​볼린저 밴드의 구성요소

 

 

 

볼린저 밴드가 주가 근처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아야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기 쉬워지겠죠?

 

 

볼린저밴드는 세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앙선과 상단선, 그리고 하단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성요소는 이 세가지가 전부지만, 

 

왠만한 지표 세팅은 상단선과 하단선 사이를 밴드 형태로 감싸 시각적으로 보기 쉽게 나타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1 . 중앙선

 

기본적으로 볼린저 밴드의 기준이 되는 중앙선에 해당하는 수치는 이동평균선(MA) 20 입니다. 

 

 

그러고보니 전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은 총 두가지가 있다고 했죠. EMA(단순이동평균)과 SMA(지수이동평균)이요.

 

볼린저 밴드에 쓰이는 이동평균선은 어디에 해당할까요?

 

 

기본적으로 MA = SMA 입니다. 따라서, 볼린저밴드에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은 지수이동평균은 아니라는것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2 . 상단선과 하단선 (혹은 상한선과 하한선)

 

중앙선의 위와 아래에 같은 텀으로 늘어져있는 선들을 상단선과 하단선이라고 합니다.

 

 

 

중앙선에 해당하는 MA(이동평균) 20 에 표준편차*2 에 해당하는 값을 더하면 상단선의 수치가 나오고,

 

중앙선에 해당하는 MA(이동평균) 20 에 표준편차*2 에 해당하는 값을 빼면 하단선의 수치가 나옵니다.

 

 

 

여기서 언급하는 '표준편차'는 통계학에서 주로 다루는 그 표준편차랑 동일한 개념입니다.

 

X축의 σ 가 바로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문자인 시그마 입니다. 

 

-2시그마와 +2시그마 사이엔 전체 표본중 총 95.4% 의 표본이 담겨져 있네요. 

 

따라서 볼린져밴드의 상단선인 +2시그마와 하단선인 -2시그마가 의미하는 바는 

 

 

 

해당 종목의 주가 전체 표본중 95.4%는 볼린저 밴드 내부인 상단선과 하단선 사이에서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벗어나는 움직임이 보인다는것은 

 

주가가 다시 밴드 내부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거나, 가격변동이 나올 가능성이 높으니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 입니다.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이라지만 저희가 자세히 알 필요는 없겠죠. 

 

지표가 알아서 계산해줍니다.

 

 

아랫 링크는 출처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1%9C%EC%A4%80_%ED%8E%B8%EC%B0%A8

 

표준 편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측값 0과 표준편차 1을 나타낸 정규분포의 누적 확률. 표준 편차(標準 偏差, 영어: standard deviation,SD)는 자료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분산의 양의 제곱근

ko.wikipedia.org

 

​볼린저 밴드의 용도 & 이를 통한 매매전략

 

 

위에서 잠시 언급했던 내용과 원리는 동일합니다.  

 

 

 

해당 종목의 주가 전체 표본중 95.4%는 볼린저 밴드 내부인 상단선과 하단선 사이에서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벗어나는 움직임이 보인다는것은 

 

 

 

주가가 다시 밴드 내부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거나, 

 

가격변동이 나올 가능성이 높으니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 이기 때문에

 

 

​해당 신호를 캐치하기 위한 도구 라는 것 입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1 . 볼린저 밴드가 좁아진다는것은 급격한 가격변동이 나온다는것을 암시하는 신호

 

 

▶ 과거 BTC / USD 일봉

 

 

6000 달러 위에 쭉 얹혀져 있던 비트코인 ㅡ 달러 페어가 한순간에 추락하게 되기 전,

 

이를 알리는 여러가지 신호가 있었습니다.

 

 

 

물론 다양한 지표들이 확정 하락시그널 까진 보내지 않더러도 경고 정돈 보내왔는데요, 

 

볼린저 밴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기본적으로, 볼린저밴드가 좁아진다는것은 주가가 같은 구간에서 지루하게 횡보하거나, 수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주가의 횡보라는것은 시장 참여자들이 갈팡질팡할때 나타나거나 

 

해당 종목을 움직이는 세력이 포지션을 잡을때 주로 나타납니다. 

 

 

 

저는 당연히 후자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세력이 애매한 자리에서 포지션을 잡는다는 의미는 결국 개인투자자에겐 지옥과도 같은 상황이지요.

 

 

저희는 그들의 공매도와 공매수. 

 

즉, 양 포지션을 생각해야 하는데, 힌트가 너무 없습니다.

 

 

그러나 언제쯤 변동이 올지 정도는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저 동그라미 친 부분을 주목해보세요. 볼린저밴드가 상당히 좁아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횡보가 그만큼 길어졌다는 뜻이고, 가격을 주도하는 세력의 포지션 정착이 거의 완료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큰 변동이 찾아옴을 기대할 수 있는것이죠.

 

 

 

일촉즉발인 상황에서 긴 횡보가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세력의 먹잇감인 시장참여자(개미)들이 불안감에 이탈을 하게 되므로,

 

지표가 나타내는 시그널과 함께 움직이는것이 그들의 최선입니다.

 

 

 

실제로 저 동그라미친 부분에서 볼린저밴드가 좁아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방향이 터집니다. 

 

방향은 하방이었네요!

 

 


 

예외

 

 

당연히 예외인 상황도 있겠죠. 승률이 100%인 지표는 없습니다.

 

 

▶ 과거 XRP / BTC 일봉

 

저 동그라미 친 부분에서도 볼린저밴드가 급격히 좁아졌지만, 한달 가까히 횡보를 유지했습니다.

 

볼린저밴드가 좁아져도 변동이 나오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주가가 바닥 근처이며 세력이 매집중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세력이 개인투자자에게 물량을 뱉어내게끔 지루하게 횡보시키며 물량을 매집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큰 가격변동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인것이지요.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나쁜 신호는 아닙니다.

 

단기적으로는 횡보 이후 주가를 쭉 떨어뜨려 눌림을 주는 경우가 많죠. 그들은 끝까지 버텨온 투자자들의 물량도 거두어 갈 속셈이니까요..

B . 세력이 이탈하여 죽은 종목인 상태

 

 

​이런 종목은 다른 세력이 가격을 주도하기 전까진 움직이지 않는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물론 눈치없는 개인투자자가 

 

고점에 물려버린 다른 투자자의 물량을 비싸게 사주는 경우 빼고요...

 

2 . 볼린저 밴드 상단을 찢고 주가가 치고 올라가는 경우

 

 

▶ 과거 BTC / USD 일봉

 

 

 

윗 사진은 지금 봐도 경이롭기만 한 비트코인 일봉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작년의 영광스러운 상승랠리를 보고 계십니다..

 

 

 

분홍색 동그라미를 친 부분을 주목해보세요. 

 

주가가 왠만하면 볼린저 밴드 내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가끔가다 위로 삐져나올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삐져나온 이후 안으로 쑥 하고 들어가버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기본적으로 주가가 볼린저밴드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가정으로 시작된 지표이기 때문에,

 

이 범위를 벗어난다는것은 일단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라는 것 이지요.

 

 

 

 

따라서 주가가 볼린저밴드 상단을 위로 찢는 상황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과매수 상태' 라는것을 나타냅니다.

 

 

 

 

 

 

2.1  매도 관점 

 

대부분 과매수 상황에서는 매도 관점으로 바라보는게 맞겠죠.

 

 

 

볼린저밴드가 충분히 벌어진 상황에서 주가가 볼린저 밴드 상단을 찢고 올라왔습니다.

 

그러나, 저희가 기술적 분석을 할때 볼린저밴드만 사용하진 않겠죠. 

 

 

 

 

추세선을 작도하여 현 지점이 저항에 걸리는 지점이라던가, 

 

RSI 등의 과매수,과매도를 나타내는 지표들이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던가 하는 상황이라던가,

 

 

볼린저밴드 상단에서의 매수세가 옅어지고 매도세가 강해진다던가,

 

거래량이 너무 많다던가.. 너무나도 많은 경우의 수가 있네요.

 

 

 

 

이땐 잠시 매도를 한 뒤, 재진입을 위한 눈치싸움을 벌여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매도한 위치보다 낮은 곳에서 재매수를 하게 되면 보유 종목수가 늘어나게 되고, 

 

이는 더 높은가격대를 바라보는 투자자에겐 이득이기 때문이죠.

 

 

​2.2 매수 관점 

 

 

가끔 과매수 상태인데도 주가가 계속 치고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입하기 상당히 꺼려지는 상황이죠. 보통 양봉 하나가 등장할때 쯤 조정을 기다리다 버스가 떠나버리는 경우가 많았을겁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해 줄 매수 전략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가 좁아진 이후엔 조만간 큰 변동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제가 위에서 언급했습니다.

 

이때 변동 방향이 위로 결정되어 볼린저밴드를 위로 찢을땐 늦은 감이 있더러도 추격 매수를 받는 편이 좋습니다.

 

 

 

그러나 과매수 상태가 끝없이 지속되며 주가가 오르진 않겠죠. 여러 매매 전략을 동원하여 눈치껏 매도하시면 됩니다. 

 

 

 

 

윗 상황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리플입니다.

 

 

동그라미 친 부분과 같이 극단적인 과매수를 나타내는 상황이 아니라면 과감하게 추격매수를 해볼만 하다는 것이죠.

 

 

 

 

특히 저 동그라미를 친 부분 이전 양봉에서도 꾸준히 볼린저밴드 상단에서 상승을 이어갔으며, 

 

볼린저밴드 돌파 포인트에서 매수를 받으셧다면 엄청난 수익을 챙기실 수 있었습니다.

 

 


 

3 . 볼린저 밴드 하단을 찢고 주가가 하락한 경우

 

 

 

하단을 찢고 주가가 하락한 경우는 윗 경우와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3.1 매도 관점 

 

 

 

볼린저 밴드가 좁아진 이후 주가가 볼린저 밴드 하단을 찢고 크게 하락할땐 

 

지연형 추격 공매도 혹은 손절을 권장합니다.

 

 

 

 

특히, 하락하는 도중 매수를 받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므로 지표가 바닥을 가르키고 있는 상황일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도로만 접근하시는게 좋습니다.

 

 

 

 

 

3.2 매수 관점

 

 

 

​이번 포인트는 볼밴이 좁아진 이후 변동이 나온 케이스가 아니라하락추세가 진행되는 도중에 과매도를 나타내었습니다.

 

이때 주목해야 할 점은 저 지점에서의 볼륨과 다른 지표들의 바닥 신호죠.

 

 

 

 

 

저 위에서도 볼린저밴드를 아래로 벗어낫을때 꼬리 형태로 주가가 회복된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주가가 추세 내에서 움직이는 도중엔 볼린저밴드 안으로 들어가려는 특성을 살려 하락 추세 속의 과매도를 노려 짧은 매수를 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물론 다른 지표들과 시장상황, 추세선 등을 동시에 정밀하게 따져보며 매수를 받아야 합니다.

 


4 . 볼린저 밴드 중앙선은 기본적으로 MA 20 ㅡ 지지 또는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자리

 

 

 

ADA / BTC 30분봉 + 볼린저밴드 기본세팅

 

​문단 제목 그대로의 내용입니다.

 

 

만약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에 해당하는 MA 20 에게 꾸준히 지지를 받는 모습이 발견된다면, 

 

 

매수 포인트를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에 닿는 시점으로 잡으실 수 있고,  

 

매도 포인트를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을 하방으로 뚫는 시점으로 잡으실 수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만약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에 해당하는 MA 20 에게 꾸준히 저항을 받는 모습이 발견된다면, 

 

 

매수 포인트를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을 상방으로 뚫는 시점으로 잡으실 수 있고

 

매도 포인트를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앙선에 닿는 시점으로 잡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MA 20 특성상 자주 등장하는 경우는 아닙니다.)

 

볼린저 밴드 활성화 방법 ㅡ 트레이딩 뷰 기준

 

 

1 . 차트 보조지표 설정은 항상 트레이딩 뷰 기준 상단바의 'Indicators' 탭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Indicators 탭을 클릭해주세요.

 

 

2 . 익숙한 화면이 보입니다. 검색창에 'Bollinger Bands' 의 줄임말인 'bb' 를 입력해주세요.

 

 

 

3 . 세팅 완료 되었습니다. 참 쉽죠?

 

 

별도의 세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본 세팅이 권장치로 맞춰져 있기 때문이지요.

 

중앙선이 MA 20 이며 상단, 하단선이 ±시그마(표준편차) 입니다. 

 

 


 

 

매매 판단에 도움이 되는 생각보다 간단한 지표, 볼린저밴드 지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각적으로도 확인하기가 아주 간편하기 때문에 많은 트레이더 분들이 애용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물론 매매승률을 확실하게 보장해주는 지표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쓰는 방법에 따라 다르기 마련이니까요.

 

 

 

해당 포스팅에 나와있는 전략을 제외하고도 해당 지표를 활용한 많은 전략이 숨어있을 수도 있습니다..

 

개개인에 맞는 매매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성투하세요 ^^.


주인장의 비트코인 브리핑 텔레그램 방 링크 & 후원하기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https://www.bitmex.com/register/IkBriK

 

Get Started | BitMEX

 

www.bitmex.com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암호화폐 채널 카테고리 ▼ > 비트코인 차트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목균형표 ( = 일목구름) . 추세 파악을 돕는 복합형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6편  (0) 2022.01.03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al). 추세반전을 암시하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5편  (0) 2022.01.03
OBV 지표 (On Balance Volume). 세력의 개미털기, 매집,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4편  (1) 2022.01.03
단순이동평균선 (SMA) , 지수이동평균선 (EMA). 매매 타점과 추세를 암시하는 지표 - 비트코인 강좌 22편  (0) 2022.01.03
도지 캔들 마감이란 무엇인가? 매매의 핵심이 되는 열쇠 - 비트코인 강좌 21편  (0) 2022.01.03
재미로 보는 비트코인과 설날(음력 1월 1일)과의 관계 - 비트코인 강좌 20편 특별기획  (0) 2022.01.03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12345
+ Recent posts